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8)
스프링부트 ~10 | lombok 스프링 기초 강의에서 첨 배웠던 lombok : https://cherryjubilee.tistory.com/31 그때는 생성자 관련 리팩터링하는 @RequiredArgsConstructor사용만 해보았다. 이번엔 @AllArgsConstructor, @ToString 그리고 @Slf4f를 새로 알았다. ↓ 메모에는 없지만 @NoArgsConstructor : 디폴트 생성자를 추가한다. 디폴트 생성자는 별도로 추가해야함을 나중에 배웠다. @Getter도 사용해봤다
스프링부트 ~9 | DB 조회
폼데이터를 DB에 저장하기2 | (server => DB) | JPA개념 & DTO를 Entity로 => Repository => DB까지 컨트롤러(예: ArticleController)에서 DTO => Entity => DB 처리를 할 수 있다 ① 폼데이터를 DTO에 저장하는 (예: @PostMapping) 메서드에서 dto.toEntity()하여 Entity객체로 저장한다. 예제에서는 Dto (ArticleForm)을 Entity (Article)로 toEntity()했다. ② Entity객체를 DB에 저장한다. 일단 Entity객체가 DB에 저장될 수 있도록 Entity객체에는 @Column 어노테이션이 존재한다. 아무튼 이 Entity객체는 대표값인 id 필드를 가지고 있고 id는 @GenerateValue에 의해 부여된다. 이러한 Entity객체는 Repository에 의해 id를 부여받고 DB에 저장될 수 있다. * 뒤에서 배우지..
5회차 결과 스프링부트와 MVC패턴을 적용하여 간단하게 CRUD 실습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만약 게시판에 글을 작성할 경우 작성한 글이 어떻게 서버로 전달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지의 과정을 새로 알았습니다. 입력된 form 데이터가 예를들면 post방식으로 컨트롤러에 전달이 되면 DTO로 관리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DTO는 JPA의 entity로 다시 규격화되어 DB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이 되고 entity는 또다시 repository에 의해 DB에 그 데이터가 저장된다는 일련의 과정을 실습하며 학습했습니다. 이러한 과정들과 관련된 annotation을 사용하면서 기능에 좀 더 익숙해졌습니다. 또한 실제로 실무에서 스프링부트+JPA가 웹애플리케이션 개발에 거의 필수요소라는 것도 배웠습니다.
5회차 목표 스프링부트 학습 (~14)
폼데이터를 DB에 저장하기1 (client => server) | 폼데이터를 DTO에 저장 post방식으로 전달된 폼데이터를 DTO에 저장하는 실습 ① 태그에 담긴 데이터가 action="도착주소" method="post" 방식으로 submit됨 ② Controller의 @PostMapping("도착주소") 메서드가 처리함 메서드의 파라미터는 DTO임!! DTO가 폼데이터를 받음 (DTO 예: class ArticleForm) Let : 에서 받을 데이터가 , 로 두가지인 상황 Then : 해당 데이터 각각의 name속성 == 해당 데이터를 저장해둘 DTO 필드명 즉 : 데이터 작성할 곳의 name속성에 DTO필드명를 집어넣어 어따가 저장할지를 명시해야 한다. 결과 : 폼데이터가 post방식으로 => 컨트롤러에 의해 => DTO의 필드에 저장되었다.
스프링부트 ~06 | 레이아웃 템플릿도 만들 수 있다
스프링부트 ~04 | 뷰템플릿
다른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