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 +a

기본&중요 | SOLID 그리고 스프링

SRP 단일 책임 원칙

OCP 개방 폐쇄 원칙 ★

∨ 확장에는 열려있으나 변경에는 닫혀있어야 한다.

ㄴ 다형성(+인터페이스)를 이용하더라도 구현객체를 변경하려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한다면 OCP가 깨지는 문제 발생

ㄴ 객체 생성 & 연관관계를 맺어주는 별도의 조립/설정자가 필요

=> Spring DI/IoC컨테이너의 역할! (why? 이후에 이해하게 됨)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

∨ 인터페이스의 규약은 지켜야 함

ISP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 자동차 인터페이스 -> 운전/정비 인터페이스로 분리 

=> 사용자 클라이언트 -> 운전자/정비사 클라이언트로 분리

인터페이스가 명확해짐 & 적절히 대체하기 좋아짐

DIP 의존관계 역전 원칙 ★

∨ 구현클래스(구현, 구체화)에 의존하지 말고 인터페이스(역할, 추상화)에 의존하라.

 


★ 중요한 예시 :

객체지향의 핵심은 다형성이지만, 다형성만으로는 OCP, DIP를 지킬 수 없다.

(클라이언트 코드도 함께 변경되어버린다)

무언가가 더 필요하다!

 

ㅡ IF

MemberService 클래스에 아래 코드가 사용됨

MemberRepository m = new MemoryMemberRepository();

ㅡ THEN

DIP를 위반 :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는 건 바람직하지만, 구현클래스도 동시에 의존하고 있다. 즉, MemberService 클라이언트가 구현클래스를 직접 선택하고 있다. 즉, 구현클래스에 의존하고있는 것이 DIP를 위반한다는 것임.

추상화에만 의존해야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 된다.

 

 


Spring으로 위 문제를 해결가능하다. (클라이언트 코드 변경 없이 기능확장)

=> 다형성 + OCP + DIP를 가능하게 한다. (아래 기술에 의함)

① DI : 의존관계, 의존성 주입 

② DI 컨테이너 제공

더보기

OCP, DIP 원칙을 지키면서 개발을 하다보면 결국 DI 컨테이너를 구현하게 되는 셈이다. 

 

 

 

 

 

반응형
다른 블로그